연말정산에서 제일 공제금액이 크고 중요한 인적공제입니다. 인적공제란 근로자 본인 및 배우자, 생계를 같이 하는 부양가족에 대하여 기본공제 및 추가공제를 적용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인적공제는 크게 기본공제와 추가공제가 있으며 기본공제와 추가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얼마큼 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연말정산 인적공제 중 기본공제
연말정산 인적공제 중 기본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본공제에는 본인, 배우자 기본공제, 직계존속 기본공제, 형제자매 기본공제, 직계비속(입양자 포함)의 자녀 기본공제, 위탁아동 기본공제, 수급자 기본공제가 있습니다.
기본공제 대상자는 1명당 연 150만 원을 근로소득금액에서 공제합니다. 공제요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소득요건 | 나이요건 |
본인 | X | X |
배우자 | O | X |
직계존속 | O | 만 60세 이상 |
형제자매 | O | 만 20세 이하 / 만 60세 이상 |
직계비속(입양자 포함) | O | 만 20세 이하 |
위탁아동 | O | 해당 과세기간에 6개월 이상 직접 양육한 20세 이하 위탁아동 |
수급자 | O | X |
기본공제 대상자의 공제요건입니다. 기본공제 대상자의 공통 소득요건은 연간소득금액 합계액이 100만 원(=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총급여가 500만 원) 이하이어야 합니다. 연간소득금액이란 근로소득금액과 그 외의 소득금액 합산을 말하며, 근로소득금액이란 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공제를 차감한 금액을 말합니다.
1. 본인
- 소득요건, 나이요건을 보지 않고 무조건 공제합니다.
2. 배우자
- 배우자 연말정산 기본공제는 과세기간 종료일(12월 31일)을 기준으로 혼인신고가 되어 있는 상태여야 합니다. 과세기간 중간에 이혼을 하였다면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배우자는 소득요건만 봅니다.
3. 직계존속
- 직계존속 연말정산 기본공제는 부모님들을 말하며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을 봅니다. 만 60세 이상이어야 하며, 주거 형편에 따라 별거하고 있지만 실제로 부양하며 생계를 같이 하는 경우는 공제 대상이 됩니다. 단 함께 부양하고 있는 다른 형제자매가 부모님에 대한 기본 공제를 받지 않아야 합니다.
4. 형제자매
- 형제자매 연말정산 기본공제는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을 봅니다. 만 20세 이하 또는 만 60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5. 직계비속(입양자 포함)
- 직계비속, 자녀 연말정산 기본공제는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을 함께 봅니다. 만 20세 이하여야 하며 질병 요양, 취학, 근무상 형편으로 일시퇴거의 경우에도 기본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6. 위탁아동
- 위탁아동 연말정산 기본공제는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을 봅니다. 해당 과세기간에 6개월 이상 직접 양육한 위탁아동을 말하며 만 20세 이하만 가능하고 아동복지법에 따른 가정위탁을 받아 양육하는 아동이어야 합니다.
7. 수급자
- 국민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된 수급자로 소득요건만 봅니다.
위 기본공제 대상자 중 장애인은 나이요건을 보지 않고 공제가 가능합니다.
연말정산 인적공제 중 추가공제
기본공제를 받는 대상에 한하여 추가공제 가능여부를 보기 때문에 기본공제대상이 없다면 추가공제를 확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구분 | 공제금액 | 공제요건 |
경로우대 | 1명당 100만원 | 기본공제대상자 중 만 70세 이상 |
장애인 | 1명당 200만원 | 기본공제대상자 중 장애인 |
부녀자 | 50만원 | 종합소득금액이 3천만원 이하인 근로자 - 배우자가 있는 여성 - 배우자가 없는 여성으로서 기본공제 대상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 |
한부모 | 100만원 | 배우자가 없는 사람 기본공제대상인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 (부녀자 공제와 중복 적용 배제) |
1. 경로우대공제
- 경로우대 연말정산 추가공제는 1명당 100만 원 추가 공제가 가능하며 기본공제대상자 중 만 70세 이상이어야 합니다.
2. 장애인공제
- 장애인 연말정산 추가공제는 1명당 200만 원 추가 공제가 가능하며 기본공제대상자 중 장애인이어야 합니다.
3. 부녀자공제
- 부녀자 연말정산 추가공제는 50만 원 추가공제가 가능하며 종합소득금액이 3천만 원 이하(=근로소득만 있으면 총급여가 41,470,588원 이하)인 근로자인 배우자가 있는 기혼 여성이거나 배우자가 없는 여성으로서 기본공제대상 부양가족이 있는 세대주이어야 합니다.
4. 한부모공제
- 한부모 연말정산 추가공제는 100만 원 추가공제가 가능하며 배우자가 없는 사람으로 기본공제대상인 직계비속 또는 입양자가 있는 경우여야 합니다. 부녀자공제와 한부모공제가 중복되는 경우 한부모 추가공제를 적용합니다.
연말정산에서 인적공제로 최대한 많은 공제가 되어야 과세표준을 낮출 수 있고 절세가 많이 됩니다. 대상요건이 충족하는지 잘 보고 연말정산을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조회하기 자료 제출 방법
1월은 직장인들의 제13월의 월급을 준비하는 달입니다. 근로자는 급여소득의 매월 원천징수한 세액과 실제로 내야 하는 소득세를 비교해서 환급을 받거나 환수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위해
yimchic.tistory.com
'리뷰 >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 총정리 (1) | 2023.01.28 |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신청 방법! 1월말까지 신청하고 돈 돌려 받자 (0) | 2023.01.27 |
2023년 자동차 환경개선부담금 연납신청하고 할인 받기 (0) | 2023.01.27 |
내 환급금은 얼마?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예상세액 계산하는 방법 (0) | 2023.01.26 |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조회하기 자료 제출 방법 (0) | 2023.01.18 |
2023년 자동차세 연납 카드사별 혜택 및 무이자할부 정리! (0) | 2023.01.16 |
자동차세 할인 받기. 2023년 자동차세연납신청 하는 방법 (0) | 2023.01.16 |
경기지역화폐 안산시 다온카드 1월, 9월만 인센티브 10%. 평상시는 6% (0) | 2023.0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