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겨울 작년대비 급등한 난방비에 깜짝 놀랐는데요, 이렇게 되니 당장 다음 달 요금도 걱정을 안 할 수가 없습니다. 이제는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밖에는 답이 없어서 난방비 절약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르면 오는 4월부터 다시 한번 인상을 한다는 전망도 나와서 더더욱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게 좋겠죠.
▼도시가스 난방비 절약하는 방법
실내 적정 난방 온도 18~20℃ 설정하기
-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20℃에서 1℃씩 올라갈 때마다 난방비가 15% 이상 오르게 되며 난방을 껐다가 재가동시키는 경우에는 난방이 돌면서 가스 소비량이 크다고 하니 아예 끄지는 말고 온도를 낮춰보세요. 실내 난방 온도를 1℃만 낮춰도 7%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하니 실내 온도를 18~20℃로 설정해 보세요.
- 한겨울철에는 20~22℃정도가 적정하다고 합니다.
적정 습도 40~60% 유지하기
- 보일러 가동을 하면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널어서 실내 적정 습도도 40~60%를 유지해 주세요. 열전달이 빨라져서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킨다고 합니다.
적정 온수 온도 40℃ 설정하기
- 가스비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경우는 온수 온도를 최고로 설정하고 수압을 강하게 뜨겁게 틀었다가 다시 차가운 방향으로 돌리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온수 온도를 약이나 중으로 설정하거나 목욕탕 온탕 온도를 40℃로 조정하고, 수압을 중간 정도 사용하면 물을 데우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 낭비와 화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온수 사용 이후 냉수 쪽으로 수도꼭지 돌리기
- 온수를 사용하고 수도꼭지 그대로 온수 쪽에 두고 잠그면 물을 데우기 위해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합니다.
보일러 외출 기능 이용
- 보일러를 완전히 끄면 일정 온도까지 재가동하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므로 외출 기능을 활용하여 적정온도를 유지하는 게 가스비 절약에 더 좋습니다. 10시간 이내로 귀가한다면 외출모드를 이용하고, 아침 최저기온이 -12℃ 이하의 한파 주의보 발령 시에는 예약/외출 기능 대신 15~17℃ 정도로 실내온도 설정을 유지하면 동파 방지도 되고 집안의 온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지역난방 같은 경우 외출모드보다는 사용하는 온도보다 약 1~2도 정도 온도를 내리고 나가는 게 훨씬 이득입니다.
- 개별난방 같은 경우 외출이나 반복 타이머를 사용하여 바닥의 온도가 어느 정도 유지가 되게 하는 게 훨씬 더 가스비가 적게 나옵니다.
방한용품 활용하기
- 실내 온도를 높이는 것보다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므로 외부의 찬 기운이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에어캡이나 커튼, 카펫, 난방텐트 같은 보조 난방 용품으로 실내 온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도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보온용품 착용하기
- 내복, 히트텍, 수면바지, 수면양말 또는 실내 슬리퍼등의 보온 용품을 착용하면 체감 온도가 3도 이상 올라갑니다.
보일러 똑똑하게 이용하기
- 방 별로 코일의 길이가 달라 난방불균형이 발생하는데, 코일별로 회수 온도가 높은 방의 밸브 일부를 잠그고, 회수 온도가 낮은 방의 밸브를 열어둡니다.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만 닫을 경우 난방 절약 효과가 없기 때문에 주 차단 밸브 또는 사용하는 방 밸브를 조절해야 합니다.
보일러 난방 밸브 조정하기
- 온도조절기는 잠김 상태에서도 미세한 열 공금이 이루어지므로 사용하지 않는 방의 밸브는 잠그고, 주차단(메인) 밸브를 일부 닫힘 위치로 조절합니다. 또한 난방을 하지 않는 방의 문은 닫아 두어 열 손실을 방지합니다.
보일러 청소의 생활화
- 연로의 연소로 인한 그을음이나 재와 물속의 스케일 성분으로 열효율이 나빠지므로 가을철 사용 전에 내부 청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스비는 온수 사용 시 가장 많이 나온다고 하니 온수 설정과, 수도꼭지 방향등으로 가스비를 절감하는 게 중요할 것 같네요. 그리고 제일 꼭대기층이나 1층, 외벽 쪽 집, 창이 큰 집들은 웃풍이 쌔니 단열 용품인 뽁뽁이나 방한커튼, 난방텐트 등으로 열 손실이 없게끔 관리해 주는 것도 좋겠습니다.
'리뷰 >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재무제표증명원 인터넷으로 발급 받는 방법 (국세청 홈택스) (0) | 2023.03.27 |
---|---|
문화누리카드 신청대상, 사용처, 잔액조회 방법 (1) | 2023.02.01 |
올바른 교차로 횡단보도 우회전 일시정지 방법 정리! 우회전 신호등? (0) | 2023.02.01 |
임산부와 산모 혜택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지원사업 신청하기 (0) | 2023.01.28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신청 방법! 1월말까지 신청하고 돈 돌려 받자 (0) | 2023.01.27 |
2023년 자동차 환경개선부담금 연납신청하고 할인 받기 (0) | 2023.01.27 |
내 환급금은 얼마?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예상세액 계산하는 방법 (0) | 2023.01.26 |
연말정산 인적공제 기본공제와 추가공제 알아보기 (1) | 2023.01.20 |
댓글